본문 바로가기

연간 10조 원 규모의 상품권 시장, 상품권은 왜 항상 할인할까?

by Issue Reporter 2025. 2. 21.
반응형

온라인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금액권이 10%씩 할인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백화점 상품권 역시 상품권 전문 판매점이나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상품권을 할인해서 판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언뜻 보면 상품권을 발행하는 기업이 손해를 볼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업에게는 중요한 경제적 이점이 숨겨져 있습니다.

🔎 할인 판매의 핵심 이유: 현금 흐름 확보

상품권은 특정 금액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지불 수단입니다. 발행된 상품권은 지정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프티콘이나 교환권도 같은 원리로 운영됩니다.

 

💸 일반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는 유통 과정에서 마진이 붙어 가치를 변화시키지만, 상품권은 다릅니다. 1만 원권 상품권은 언제나 1만 원의 가치를 가지며,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기업들은 왜 이렇게 막대한 규모의 상품권을 발행하고, 심지어 할인까지 해가며 판매하는 걸까요?

 

가장 큰 이유는 현금 흐름(캐시 플로우) 확보입니다. 기업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원활한 현금 흐름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거래에서는 제품을 먼저 판매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결제 대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유동성이 부족해지면 기업 운영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죠.

 

하지만 상품권은 이와 정반대입니다. 아직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전에 현금을 먼저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입장에서 매우 큰 장점이 됩니다. 유동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미래의 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 상품권이 가져다주는 추가 수익

단순히 현금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 외에도, 기업들은 상품권을 통해 이자 수익낙전 수익이라는 추가적인 경제적 이점을 얻습니다.

1. 이자 수익

상품권을 발행하면 기업은 즉시 현금을 확보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객이 실제로 상품권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이 자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이나 단기 투자에 운용하면 이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죠.

☕️ 대표적인 예로 스타벅스 카드를 들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스타벅스 카드에 충전된 선불 금액은 약 3,400억 원에 달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연간 수십억 원 규모의 이자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낙전 수익

또한, 사용되지 않은 상품권에서 발생하는 낙전 수익도 기업에게 유리한 요소입니다. 낙전 수익이란 고객이 구매한 상품권이나 서비스 금액을 전부 사용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사용기한이 만료된 기프티콘, 분실된 상품권 등은 그 금액이 다시 상품권을 발행한 회사로 귀속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순수한 추가 수익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손해가 발생하는 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기프티콘과 상품권 할인 판매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보이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권을 구매하며 이득을 볼 수 있지만, 기업 역시 그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적 이익을 챙기고 있는 셈입니다.

🔎 결론: 상품권 할인은 기업과 소비자의 전략적 거래

상품권의 할인 판매는 단순한 마케팅 전략이 아니라 기업이 현금 흐름을 개선하고,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적 수단입니다. 반대로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권을 구매해 지출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죠.

앞으로 상품권을 구매할 때는 단순히 할인을 넘어 그 이면에 숨겨진 경제적 구조까지 한 번쯤 생각해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